Computer Science/데이터 통신

Internet Protocol

seungwon9201 2024. 12. 9. 01:02

Internet Protocol은 데이터 전송할 때 별도의 연결을 설정하지 않는 connectionless 방식을 사용함. 그래서 flexible, robust, overhead가 낮음

 

IP design lssue

1. Routing : datagram이 목적지까지 올바르게 전송되도록 지원

2. Datagram Lifetime : datagram이 무한 루프되는 걸 방지하기 위해 수명설정하고 관리

3. Fragmentation and reassembly : 데이터를 전송할 때 효율적인 전송을 위해 작은 블록으로 나누고 재결합해야 한다. 하지만 처리시간과 인터럽트가 증가함 

4. Error control : 무결성과 신뢰성을 보장

5. Flow control : 과부하 방지

 

Parameter : 데이터를 전달하거나 제어 정보를 전달하는 데 사용

 

Subnets and Subnet Masks

Subnet : LAN을 자유롭게 관리하도록 허용

Subnet masks : 네트워크주소와 호스트 주소를 구분하기 위해 사용

 

1 and 1 = 1, 나머지는 0

ICMP(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

라우터나 기타 호스트가 다른 호스트로 메시지를 전달하는 수단을 제공해 줌

 

ARP(Address Resolution Protocol)

IP 주소를 MAC 주소로 변환하는 프로토콜

 

IPv6

  • 더 많은 비트(128)를 갖기에 더 많은 디바이스와 네트워크 지원
  • 동적 IP 주소 할당
  • QoS지원

Unicast : 단일 인터페이스를 식별하는 주소로 1:1 통신에 사용

Anycast : 인터페이스 중 하나를 식별하는 주소로 가장 가까운 곳으로 패킷 전달

Multicast : 인터페이스 전체를 식별하는 주소로 1: 다 전송을 지원

 

VPN(Virtual Private Network)

보안이 취약한 네트워크 환경에서 암호화와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안전한 통신을 제공

그러나 독점적인 솔류션을 방지하기 위해 IPSec 방식을 사용하는 것이 중요

 

IPSec는 네트워크 통신의 안전성을 보장하기 위한 핵심 기술로, 암호화와 인증을 통해 데이터의 무결성과 기밀성을 유지

 

 

'Computer Science > 데이터 통신' 카테고리의 다른 글

Routing  (0) 2024.12.09
Local Area Network  (0) 2024.12.08
Cellular Wireless Network  (0) 2024.11.25
WAN Technology and Protocols  (0) 2024.11.20
Multiplexing  (0) 2024.11.20